본문 바로가기

당뇨고지혈증걷기5

태양에 말린 산수유 진액/태양에 말린 오미자 진액/천연강장제 오미자 5. 말린 산수유 봄의 신호탄 산수유는 이른 봄 노란색의 꽃을 피우고 열매는 녹색이었다가 9월 초에서 10월 말까지 붉은색으로 익는데 시큼하면서 약간 떫은맛을 갖고 있다. 주성분은 사포닌의 일종인 모로코= 모로니사이드, 로가닌, 코르딘 타닌 등이며 포도주산, 사과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과 비타민 A도 많이 함유돼 있다. 산수유의 약효를 높이기 위해서 생과를 햇볕에 일주일 정도 말린 후 진액을 담글 때 씨는 반드시 제거한다. 씨에는 신장에 해로운 독소가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5-1 산수유 진액 효능 5-1-① 신장 기능을 조절해 주며 정력 향상 효과가 있다. 코르틴 성분이 부교감신경을 자극한다. 5-1② 월경과다, 생리불순, 생리주기를 정상적으로 조절한다 5-1-③ 아이들의 야뇨증과 성인의 요실금에 좋.. 2023. 3. 28.
마블링은 동물확대의 징표다/죽은식품에 돈 지불/공장음식과 자연음식 우리의 아이들이 먹는 햄버거 패티는 어떤 환경에서 자란 소일까 궁금하다. 소의 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소의 사육환경을 알게 되면 실망스럽다. 가축의 99%는 공장식 축산 방식으로 길러진다. 좁은 공간,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자란 만큼 어마어마한 양의 항생제를 투여받는다. 항생제외 가축을 상품으로 성장하기 위한 성장 호르몬 주사를 지속적으로 맞는다. 그만큼 우리가 먹는 가축들은 정상적인 건강 상태가 아니다. 빌 클린턴 대통령의 주치의였던 존 맥두걸 박사는 육식을 가리켜 '단백질 많은 식품이 아니라 동물의 사체를 먹는 것'이라고 말했을 정도다. 육식은 질병과 고통, 그 차체를 먹는 행위다. 마블링의 진실 소의 근육 곳곳에 끼어 있는 꽃등심은 자연스럽게 생겨난 부위가 아니다. 인간이 혀를 만족하기 위해서 인위.. 2023. 3. 21.
효소 부족이 1.알레르기 발생, 2.췌장 인슐린 저하/췌장에 해로운 육류와 트랜스지방10-9 효소의 공장 췌장 우리는 가끔 몸이 안 좋을 때나 췌장이 약해졌을 때, 산화한 기름으로 조리한 음식을 섭취했을 때 나타나는 두드러기를 경험했을 것이다. 이는 산화한 기름을 분해하지 못해 그런 것으로 효소의 부족이라 한다. 튀김류의 기름을 주의해야 한다. 아토피가 생기는 이유 피부 밑에는 수많은 모세혈관이 있다. 인체의 75%가 팔과 다리에 모여 있다고 합니다. 정상적으로 분해, 소화, 해독되지 않은 음식은 이물질로 인식하게 된다. 알레르기는 인체 내의 효소가 부족한 상태에서 이런 이물질을 미처 대처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겨나는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증이란 이물질이 들어오면 백혈구는 항체를 만들어 히스타민을 방출하는데 이 히스타민은 무릎 뒤와 팔꿈치 뒤, 손가락 관절, 겨드렁이 밑 등 굽은 부위와 얼굴 등.. 2023. 3. 17.
효소가 체내 환경을 건강하게 만든다/천연소금과 나쁜소금10-8 철이 물과 산소를 만나면 산화하여 녹슬게 되듯이 사람의 몸도 체내에 흡수되는 음식물로 인하여 몸도 산화하면 노화가 진행된다 이래서 음이온에 가까운 약알칼리성 음식물을 섭취하여야 건강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중금속과 농약, 화학악품은 사람의 몸을 산화시키는 물질이다. 자외선도 지나치게 많이 쪼이면 몸을 산화시켜 노화가 진행된다. 인체의 70%는 물로 구성되어 있다. 체내 환경을 좋게 만들기 위해서 반드시 좋은 소금을 섭취해야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다. 태아가 자라는 환경 즉, 양수도 염분을 유지하고 있다. 정제된 흰 소금은 99%가 염화나트륨인데 이것은 치명적으로 나쁘다. 나트륨은 신장에 쌓여 신장의 기능을 저하시키며 계속 먹는 한 혈액환경을 좋아지게 하지 않는다. 그럼 어떤 소금을 먹어야 할까? .. 2023. 3. 16.
치매 예방 으뜸 생활습관/금주 금연 숙면 햇빛 치주질환 비만방지 20-13 치매 예방의 척도 금주, 금연, 비만방지 UN에서 제시한 사회의 분류 중 초고령사회의 65세 이상 인구비중은 전체인구의 20%다.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가 도달하는 년도가 26년이라 발표하였다. 노인성 알츠하이머병이 본격적으로 대두되는 2026년이 결코 멀지 않다. 알츠하이머병은 보통 발병 시점으로부터 7 -10년에 걸쳐 진행된다고 합니다. 이러한 장기간의 투병생활, 그리고 필연적으로 증가하는 돌봄 비용으로 인해 치매는 가족 · 사회의 고통과 함께 매우 비싼 질병입니다. 머지않아 닥칠 수 있는 사회적 재앙을 피하기 위해 치매 질환에 대해 정확한 인지가 필요하며, 치매에 대한 억제력의 약은 개발되었으나 치료제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다가올 재앙을 막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여겨집니다. 20.. 2023. 2. 21.